파이프라인에 잡을 추가하려면 Job Search 기능을 사용하면 됩니다.
우측 Job Search 메뉴에서는 검색어를 입력하거나, 언어/프레임워크와 태그, Stage를 선택하여 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 또 검색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잡 목록을 마우스 스크롤로 내리며 각 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잡을 클릭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상세 정보가 나옵니다.
잡 상세 정보에서는 다음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잡 설명 : 해당 잡을 상세히 설명합니다.
- ‘추가하기’ 버튼 : 이 버튼을 누르면 잡을 파이프라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. 해당 잡의 소스는 YAML에 자동 추가됩니다. 비주얼라이즈 화면을 보면 잡 버튼이 추가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잡이 추가되면 ‘추가되었습니다’라는 초록색 창이 뜹니다.
- ‘제거하기’ 버튼 : 이 버튼을 누르면 추가된 잡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. 이 버튼은 잡이 파이프라인에 추가되었을 때만 노출됩니다. 제거하기 버튼을 누르면 코드를 별도로 수정하지 않고도 쉽게 잡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.
- 잡의 Variables(변수 정보) : 이 정보가 있는 잡도 있고, 없는 잡도 있습니다.
- GitLab Settings : 파이프라인을 실행하기 위해 GitLab에서 설정해야 하는 정보를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는 GitLab에서 파이프라인을 실행하기 위해 반드시 설정해야 하는 변수입니다. 따라서 내용을 꼭 확인하고, 파이프라인을 실행하기 전에 GitLab에서 반드시 변수를 등록해야 합니다.
위 화면과 같이 잡이 등록, 추가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댓글
댓글 0개
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.